2016년 2월 18일 목요일

Meaning of New ECB & BOJ Monetary Policy

Impossible Trinity and Emerging Markets


We often mention the Impossible trinity to evaluate how monetary policy effects on FX market. The Impossible trinity (also known as the Trilemma) states that it is impossible to have (1) A fixed foreign exchange rate, (2) Free capital movement, and (3) An independent monetary policy at the same time (Figure 1).

For example, a central bank loses monetary policy independency if one (1) fixes foreign exchange rate and (2) allows free capital movement. The central bank needs to follow other standard interest rate to reduce arbitrage opportunities and extreme capital outflow. Therefore, the central bank loses its intended monetary policy.

Figure 1: Components of the Impossible Trinity. Source: New York Times

China has been trying to overcome the Impossible trinity with the largest foreign exchange reserves. But I’d like to talk about emerging markets before addressing China. This week, there were two main events from the ECB President Mario Draghi and the BOJ Governor Haruhiko Kuroda. Both President Draghi and Governor Kuroda emphasized additional monetary easing.

The title of President Draghi’s speech on Feb. 4th was ‘How central bank meet the challenge of low inflation.’ During the speech, he highlighted several issues.
  1.   “…low inflation is increasingly being caused by structural factors in the global economy that cannot be addressed through domestic monetary stimulus.”
  2.  ‘There is no reason why they should lead to a permanently lower inflation rate.’
  3. ‘If we do not “surrender” to low inflation – and we certainly do not – …’

What he meant by ‘we do not surrender’ is the ECB will expand monetary policy longer than the traditional ‘medium-term.’ So, what does he mean by the new ‘medium-term’ in this case? President Draghi suggests that the central bank needs to boost inflation before expected inflation falls below actual inflation. Expected and actual inflation have an inverse relationship that lower expected inflation will eat up positive effects of monetary easing (Figure 2).

Figure 2: Fisher Effect explains relationship between expected and actual inflation
As inflation expectations fall, it pushes up real interest rates, producing an unwarranted monetary tightening. And the unexpected low inflation raises real debt burdens, which has a negative effect on aggregate demand due to the different propensities to consume and invest of borrowers and lenders. Output and inflation, then move again in the same direction – but this time downwards.

Same thing happened last December, when Federal Reserve Bank increased federal interest rate for the first time in a decade. Expected inflation had been declining and stagnated at 2.6% level. With that reason, President Draghi will easy ECB’s monetary policy for ‘medium-term.’ After his speech, however, euro (EUR) strengthened about 2.38% (Figure 3).

Figure 3: USD/EUR and USD/JPY graph from Feb. 1st to 5th. Source: Yahoo Finance
BOJ Governor Kuroda spoke in a similar tone: “there is no limit on monetary easing.’ With the President Draghi’s speech, Japanese Yen (JPY) strengthened 2.24%

Isn’t it weird? With more liquidity and additional monetary easing, in theory, EUR and JPY have to be depreciated. At first, we need to look at why they conduct additional monetary easing. We found that ECB is to fight against ‘medium-term’ disinflation. But how about BOJ?

According to the Economist in 2014, corporate cash holdings in Japan was about 44% of its GDP. It is larger than 11% of United States and 19% of Germany. It implies that the BOJ did not decrease its interest to negative area to boost investment. Even further, the BOJ would not conduct additional monetary easing in that perspective.

We can find the answer from the ‘Carry Trade.’


EUR and JPY Carry Trade 


Currency Carry Trade is a strategy in which an investor sells a certain currency with a relatively low interest rate and uses the funds to purchase a different currency yielding a higher interest rate. It often carries large amount of debt.

There are two big downsides of carry trade: (1) Large amount of debt, and (2) Foreign exchange risk. In order to make profits from the carry trade, a trader needs to predict future spot exchange rate. It means that high volatility in FX market will be a burden for the carry trader.

Currency market in emerging nations weakened overall, but its volatility has been increased. In a high volatility environment, carry trade should reduce its size since it is exposed to high risk. Therefore, much of easy money in carry trade flow back to debt holders to payback principles. But illiquidity of JPY and EUR arises when those money flow back.

To solve the illiquidity issue, the ECB and BOJ announced another quantitative easing. By providing additional EUR and JPY, in theory, carry traders will have enough supply without appreciating domestic currency. Once the capitals from carry trade comes back to home country, they will look for safe asset such as 10-year Bund, 10-year Japanese bond and gold. This is the reason behind sudden spike in safe assets price.

Figure 4: Gold and silver futures price from Feb. 1st to 5th. Source: Yahoo Finance

Who will Gain and Lose?


On the first week of February, we can see an interesting spike or downfall in various financial markets on Wednesday 3 pm (EST). Emerging nations’ currencies (EMCs) such as rupiah and ringgit strengthened against USD while JPY and EUR continued its appreciation. Those EMCs continued to strengthen on Thursday and Friday; USD kept weakening.

Figure 5: USD index graph from Feb. 1st to 5th. Source: CNBC
On the other hand, EMCs did not have a noticeable spike on Wednesday. It showed a high volatility while overall exchange rates were steady. It means that capitals from carry trade can flow back ‘safely.’

Figure 6: JPY/MYR graph from Feb. 1st to 5th. Source: Yahoo Finance
Figure 7: EUR/MYR graph from Feb. 1st to 5th. Source: Yahoo Finance

The problem is emerging markets. While carry traders faded away, EMCs supposed to be weakened. Yet it appreciated against USD while stayed at the ‘steady’ level against EUR and JPY. It may imply central bank intervention to restraint capital outflow. Of course, we can confirm this fact later this month – when new foreign exchange reserve data comes out. We have to take a deep look of the proportion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as well as the total amount of the reserve.


Conclusion


We have seen that much liquidity flew from European and Japanese quantitative easing to emerging markets in a form of carry trade. With recent increased volatility in financial markets, investors reduce their positions on the market and seek for safer assets. Central banks – BOJ and ECB – provide liquidity. Federal Reserve Bank have indirect benefits by weakening USD. It would help to boost oil price and potentially U.S. CPI and GDP in a long term.

However, we have to keep in mind that this scenario will work under several conditions:
  1.  EUR/EMCs and JPY/EMCs should be stay steady to reduce carry trading positions
  2. Central banks of emerging nations should have sufficient foreign exchange reserves

We have to closely monitor trading volume of EUR and JPY, and central banks’ movement for next few weeks to see further movement of FX markets.

2016년 2월 15일 월요일

유럽의 유동성에 관해서 - CoCo Bonds & QE


도이치뱅크 CDS의 급등이 시사하는 점

설 연휴를 전으로 해서 도이치뱅크 CDS가 급등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CDS (Credit Default Swap) 를 간략히 말씀드리면 '채무불이행 보험료'의 buyer price와 seller price의 차이를 나타낸 것입니다. 이 둘의 가격 차가 클수록 수급 불균형, 즉 risk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도이치뱅크 CDS의 증가는 도이치뱅크의 채무불이행이 높아졌다 말할 수 있습니다.

도이치뱅크 CDS 그래프. 출처 : 페이스북 경제가보이네요 그룹

많은 전문가분이 이 급증의 이유를 CoCo bonds에서 오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CoCo bonds가 아닌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에 더 집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CoCo bonds가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CoCo bonds란 무엇인가?

CoCo bonds - Contingent Convert Bonds의 약자로써 3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위기 상황을 대비한 채권이다.
둘째, 주가 (혹은 채권 가격이) '적정선' 이하로 떨어질 시 주식으로 변한다.
셋째, 발행자의 수익이 악화할 경우 coupon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넷째, Perpetual bond (무기한채권) 이다 (TLAC requirement 때문).

딱 보아도 채권자에게 불리한 조항이 많습니다. 하지만 위험이 클 수록 수익이 높으므로, 더 큰 수익성 (yield)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급등하기 전인 1월에 약 7.5%의 yield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약 13.4%까지 yield가 치솟았죠. 수익률이 높아져서 좋은것이 아닙니다, 이는 그만큼 위험률이 커졌다는 뜻입니다.

CoCo bonds yield 추이. 출처 : Bloomberg

(1) 위기 상황을 대비한 채권

CoCo bonds의 가격 폭락의 원천적인 이유를 찾으려면, 만들어진 이유부터 알아야 합니다.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세금으로 은행을 bail-out (구제금융)을 해야 되는지 갑을 논박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bail-out이 아닌, bail-in을 해야 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즉, 은행들이 '스스로' 일어날 수 있도록 제도적 변화를 줘야 한다는 것이었죠.

이렇게 해서 TLAC 프로그램이 생기고, CoCo bonds라는 상품이 생기게 됩니다. (TLAC는 나중에 따로 다루도록 하고 오늘은 CoCo bonds에 대해 이야기만 하겠습니다). CoCo bonds는 은행이 위기에 빠질 때 주식으로 변환됩니다. 즉, 주주의 권한이 강화되어 주주의 의견이 더 반영되며, 채권자는 줄어들기 때문에 회사는 파산되어도 자산을 '그나마' 지킬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위기 상황 시 주주들은 '주가방어'를 위해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어 회사를 더 잘 살릴 수 있다는 논지였습니다.

CoCo bonds의 규모와 발행 시기. 출처 : Value Walk

의도는 좋은데, 실제 상황에서 얼마나 반영될 수 있는지는 미지수입니다. 만약 은행이 'too big to fail (TBTF) 일 때 어떻게 될까요? 큰 은행 CoCo bonds 투자자들은 - 지난 2008년처럼 - 정부가 구제금융을 해줄것이라 믿고 단지 '고수익' 상품에 투자했을 것입니다. (물론 도이치뱅크처럼 큰 은행의 수익성 악화도 생각지 못했겠지요).

(2 & 3) 은행의 수익 악화와 Coupon payment

2015년도 도이치뱅크 실적이 발표되었을 때 (2) 번의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약 68억 유로의 손실을 보았는데, 이때부터 CoCo bonds의 coupon을 지급할 수 없을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았습니다. 지급 불가능한 만큼 bonds의 가격을 내려가게 되고, 이는 불확실성을 키워서 주가를 내려가게 하여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사이클이 반복되어 보였습니다.

이러한 위기의식이 팽배하던 중, 2월 12일 도이치뱅크는 채권을 매입합니다. 약 34억 유로, 20억 불 규모의 senior debt를 공개매수 하게 된 것이죠. 하지만 왜 지금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 CoCo bonds가 아닌 'senior debt'를 매수하는지에 주목하여야 합니다.

위에서 말했다시피 CoCo bonds는 위기를 막는 쿠션 역활을 해줍니다. 방패를 만들어 놨는데 지금 부술 이유가 없죠 - 투자자들이 어떻게 되든 말입니다. 이런 상태에서 senior debt를 산 것은 은행의 '지급 능력'을 보여준 것입니다. 또한, 회사채 가격이 내려갔을 때 조기매수 함으로써 채무상태를 더 나아가게 할 수 있습니다.

도이치뱅크의 2016년 1월 1일 ~ 2월 14일 주가 추이. 출처 : Yahoo Finance

하지만 이에 주가가 반등한 것은 회사의 불안감이 크다는 것을 암시한 것입니다. 회사의 현금을 다른 곳에 투자하지 않고 자기 빚을 갚는 데 쓰는데 주주들은 좋아합니다. 그만큼 도이치뱅크의 상황을 나쁘게 본다는 것이었겠죠.

(4) CoCo bonds는 무기한채권이다.

무기한채권은 발행자가 특정 기간에 상환할 수 있습니다. 도이치뱅크의 경우, CoCo bonds가 상환될 수 있다는 기대감은 마켓이 '예상하는 만기기간'을 만들었습니다. (주로 5년). 이 '기대만 기기 간'은 향후 CoCo bonds를 발행하기 더 비싸게 만들어 발행자가 무기한채권을 상환하게 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더 싼 가격으로 채권을 발행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무기한채권의 상환은 '의무'가 아닙니다. 지금처럼 은행이 내야 할 이자가 올라가면 5년 후에 상환할 수 없을 것이고, 이는 채권자는 무기한채권을 더 오랫동안 보유해야 합니다. 즉, 채권자의 포트폴리오에 변수가 생기고 유동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뜻입니다.

대안 - 도이치뱅크의 방어 전략과 ECB

2월 8일 월요일 - 도이치뱅크는 현재 10억 유로를 보유하고 있어 4월에 있을 3.5억 유로의 coupon을 충분히 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2월 12일 금요일 - 도이치뱅크의 성명서에 senior debt 조기 상황 이외에 다른 부분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2015년 말 short-term liquidity가 약 2,150억 유로가 있고, liquidity coverage ratio는 약 120%라는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하였습니다.

즉, 우리는 '단기자금이 풍부하다.' 라는 뉘앙스를 풍기고 있는 것입니다. 과거 리먼 브러더스 사태나, 현재 금융시장을 보면 '유동성' 위험성은 항상 주위에 있습니다. 즉, 이 유동성 문제가 다시 유럽시장을 통해 떠오르고 있는 것입니다.

유럽중앙은행 (ECB) 의 추가 양적 완화도 이러한 유동성을 공급해 주기 위함입니다. 양적 완화 자체가 주요 은행들에 단기자금을 주어 refinancing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추가 양적 완화는 유로 은행권의 유동성이 축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http://www.valuewalk.com/2016/02/coco-consternation-and-systemic-procyclicality/
http://www.forbes.com/sites/francescoppola/2016/02/10/deutsche-banks-recovery-is-not-what-it-seems/#62b334082168
http://www.businessinsider.com/deutsche-bank-bond-buyback-2016-2
http://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6-02-11/deutsche-bank-investors-get-a-scare
http://seekingalpha.com/article/3893886-deutsche-bank-crystallizing-europes-tbtf-problems?page=2

2016년 2월 7일 일요일

새로운 통화정책이 시사하는 점

<Impossible Trinity & EM>

외환시장을 얘기할때 가장 많이 나오는 것이 'Impossible Trinity' 이론입니다. 이론은 국가가 (1) 고정환율제, (2) 자유로운 자본이동, (3) 독립된 통화정책 3가지를 한꺼번에 이룰 없다는 이론입니다.

얘를 들면 (1)번과 (2)번의 조건이 만족했을 경우, 중앙 은행은 환율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른 나라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캐리트레이드와 arbitrage opportunity 때문에 자본 유출이 심해지니까요. 따라서 통화정책의 독립성이 없어집니다.

Impossible Trinity의 구성. 출처 : New York Times

굳이 이론을 이야기 하는것은 중국 때문입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해 이야기 하기전에 오늘은 선진국을 먼저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이번주에는 2가지 이벤트가 있었는데, ECB Draghi 총재의 연설과 BOJ 구로타 총재의 연설이 있었습니다. 연설 모두 통화정책 완화를 이야기 했었죠.

2 4일에 있던 Draghi ECB 총재의 연설문은 공격적인 형태를 띄고 있었습니다. '중앙 은행이 낮은 인플레와 어떻게 맞설 것인가' 라는 제목부터 범상치 않았었죠. 연설에서 Draghi 총재는 가지를 강조하였습니다.

1. 저인플레 현상은 자국 중앙은행이 혼자 없다.
2. 저인플레 현상은 영원하지 않다, 지금의 저인플레 현상은 mid-term 것이다.
3. '우리는 지지 않는다'

'우리는 지지 않는다'.. 이것은 저인플레와의 중장기전도 불상시 하겠다는 뜻으로 비춰집니다.. 그럼 Draghi 총재가 언급한 '중장기' 얼마동안일까요? Draghi 총재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 보다 낮아지기 전에 인플레이션을 올려야 한다 주장하고 있습니다이는 기대 인플레이션이 점차 낮아지면 실질 인플레이션은 올라가기 때문에, 통화 정책을 써도 잘 먹히지 않게 되기 때문입니다.

실질 인플레이션과 기대 인플레이션의 관계를 나타낸 Fisher Effect.

일본의 잃어버린 20 초창기에 일본 은행의 통화정책이 통하지 않는 이유를 기대인플레이션이 이미 deflation 영역에 들어섰기 때문이라 이유를 들었습니다. 이와 비슷하게 Fed 작년 12월까지 금리인상을 밖에 없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미국 기대인플레이션이 오히려 떨어진뒤 교착되었기 때문이죠.

이유가 어찌되었건, Draghi 총재는 이러한 이유를 들어 '중기적'으로 양적완화를 하겠다 선포했습니다. 그럼.. 유로화의 공급이 많아져서 약세를 띄워야 하는데, 유로화 발언 이후 2.38% 강세를 불러왔습니다. 글에도 있듯이 자금이 오히려 회귀하고 있는 것이지요.

2월 1일 ~ 5일 USD/EUR, USD/JPY 그래프. 출처 : Yahoo Finance

재밌는건 일본 은행의 구로타 총재도 비슷한 발언을 합니다.

'우리 아직 끝났어ㅋ 통화정책에 끝이 어딨냐?'

엔화는 발언이 있자 2.24% 강세를 보입니다. 돈을 푼다고 하는데 엔화는 강세네요. 2014 이코노미스트지에 따르면 일본 기업들은 Cash-to-GDP 비율이 44% 달하였습니다. 미국 11%, 독일 19% 비하면 현저히 많습니다 (여담으로 한국은 34%..). 투자를 늘리기 위해 금리인하를 단행한것은 더더욱 아닙니다.

나라별 기업 현금 보유율. 출처 : The Economist

통화정책 완화를 시사했는데, 오히려 EUR JPY 통화 강세를 띄웠습니다. 이상하지 않나요? 통화의 공급양이 많아지면 약세를 띄워야 하는데 말이죠. 하지만 EUR, JPY 강세를 띄웠습니다.


<캐리 트레이드>

캐리 트레이드는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서, 다른 나라의 고금리 상품에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캐리 트레이드의 가장 단점은 future spot exchange rate 정확히 예측해야 한다는 것이죠. 뜻은 환율의 변동성이 심해질수록 캐리 트레이드 전략에 부담이 된다는 것입니다.

EM 환율을 보면, 전체적으로 약세를 띄고 있지만 변동성이 점점 심해지고 있음을 있습니다. 그렇다면 양적완화로 풀어진 캐리 트레이드 자금은 다시 회수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오건영 님의 글에서 있듯, 언제나 유동성이 문제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ECB BOJ 발언은 유동성을 공급해주기 위한 '립서비스' 라는 뜻으로 해석될 있습니다. , 캐리 트레이드 청산을 위해 기관들이 가지고 있는 빚을 국가들이 갚기 쉽게 도와주는것이 됩니다.
캐리 트레이드로 본국으로 회기한 자금들은.. 안전 자산을 찾게됩니다. 수요일을 기점으로 German 10Y Bond, 10Y T-Bil, 일본 10 국채, ,  .. 많은 '안전자산'들의 가격이 올라간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 찾을 있습니다.

2월 1일 ~ 5일 금과 은 가격. 출처 : Yahoo Finance


<Who will gain & lose?>


지난주 환율시장을 보면, 수요일 오후 3 (미국 동부시간) 기준으로해서 재밌는 그림이 나옵니다. 신흥국 통화들이 USD 상대로 강세를 띄웁니다. JPY, EUR USD 상대로 강세를 띄우고 있게됩니다. EM 통화들은 USD 상대로 목요일, 금요일도 강세를 보이게 됩니다. USD 계속해서 약세가 되죠.

2월 1일 ~ 5일 USD Index 그래프. 출처 : CNBC

이에 반해 EUR/EM 환율은 변동이 없습니다. 수요일 강세를 보인곳에서 보합세를 보이거나, 오히려 강세폭이 낮아졌습니다. , EUR/EM 환율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죠..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일본이나 유로지역에서 왔다고 하면, 환율이 변동이 적다는 뜻은 캐리 자금들이 '안전하게' 돌아갈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2월 1일 ~ 5일 일본 옌 대비 말레이시아 Ringgit 가치. 변동성이 심하고 보합권에 있다. 출처 : Yahoo FInance
2월 1일 ~ 5일 유로화 대비 말레이시아 Ringgit 가치. 역시 보합권에 있다. 출처 : Yahoo Finance
문제는 EM입니다. 캐리자금이 청산되면서 EM 환율은 당연히 약세가 되었지만, 달러화 시장에서는 오히려 강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EUR, JPY 대비 강세는 오래 이어지지 않았고 곧바로 진정되었죠. 이것은 중앙정부의 개입이 있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자금이탈이 심해지니 일단 막고보자.. 이런 식으로 가게 된거죠. 물론 다음달 외환보유고가 나와봐야 확인할 있겠지만요. 지준금 안에있는 EUR, JPY 털어서 외환을 방어하자, 시장은 이미 USD 대비 약세.. 이런 그림이 나온것 같습니다. 덕분에 유가도 올라가고 숨통이 트긴 했지만요.

2월 1일 ~ 5일 3월 만기 유가 그래프. 출처 : Yahoo Finance

, 일본 & 유로지역에서 나타난 캐리 자금들이 EM 투자되었지만, 변동성이 커지자 자금 회수를 하기 위해 중앙 은행들이 나서게 거죠. 때마침 미국도 달러화 약세를 원하고 있었기 때문에, EM --> 유럽/일본 으로 흘러가고, USD 사이에 껴서 반사이익으로 약세전환하게 됩니다. 덕분에 유가는 반등하게 되면서, 신흥국들도 반사이익을 보는, - 스토리가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윈이 지속되려면 EUR/EM 혹은 JPY/EM 환율이 지속적으로 안정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돌아가면서, USD 약세를 보여주게 되니까요. 하지만 신흥국 외환보유고가 그렇게 많을까요? 중국을 시작으로 많은 신흥국들의 외환보유고가 감소되고 있습니다. 물론 외환보유고가 양적완화 이후 급격히 늘어 아직은 괜찮지만, 언제나 감소되는 '속도' 눈여겨 봐야 같습니다.